Skip to content

Tags

On this page

민중문학

개요

민중문학(民衆文學)은 민중이 창작의 주체이자 수용자가 되며 민중주의적 이념을 지향하는 문학을 말한다.

상세

1980년대 한국문학의 한 흐름을 이끌어간 문학이다. 문학의 현실반영을 중시하는 리얼리즘문학에 속한다. 민중이 직접 창작하고, 민중의 민주주의적이고 휴머니즘적인 지향을 담은 문학이라 정의할 수 있다.

사회운동과의 연계 속에서 출발한 문학운동의 성격이 강하다는 점에서 192,30년대 계급문학(프로문학)과 비교될 수 있다. 192, 30년대 계급문학이 노동자계급의 정의를 실현하는 계몽문학으로서의 성격이 강했다면, 1980년대 민중문학은 '민중'이라는 주체 개념이 소외 계층의 시각이라는 좀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변화하였다.

References

Edit this page
Last updated on 5/14/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