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is page
독자반응비평
On this page
개요
독자반응비평(Reader-Response Criticism)은 스탠리 피쉬(Stanley Fish)와 볼프강 이저(Wolfgang Iser)가 주창한 것으로, 독자반응비평에 따르면 문학 텍스트 이해란, 이것을 읽고 소화시키는 “독자의 반응”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텍스트의 의미 내용은 이에 대한 독자의 반응들이 모인 집합체로서, 이를 근거로 작품 평가까지도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세
수용미학과 비슷하나, 수용미학(Reception theory)은 작품을 읽고 이해하는 수용자의 미적 감수성을 중시하는 미학이므로 독자의 심적, 정신적 반응을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독자반응이론(Reader-response theory)과 약간 다르다.
각론
- 상호거래적 독자반응이론 : 볼프강 이저(Wolfgang Iser)로 대표되는, 텍스트와 독자 사이의 거래를 분석하는 방법론
- 영향(감정) 문체론 : 문학 텍스트를 공간적 대상이 아니라, 시간적으로 일어나는(텍스트를 읽는 동안 발생하는) 하나의 사건으로 보고 접근하는 이론
- 주관적 독자반응이론 : 데이비드 블라이히(David Bleich)로 대표되는, '독자들의 반응이 곧 텍스트'라는 관점
- 심리적 독자반응이론 : 정신분석학 개념을 사용하여 독자들의 심리적 반응을 분석하는 데 집중하는 이론
- 사회적 독자반응이론 : 주관적 독자반응이론에서 좀 더 개별 독자가 속한 공동체의 문화와 경험을 강조하는 이론 (즉 개별 독자의 순수한 주관적 반응이론 존재할 수 없음)
References
Edit this page
Last updated on 6/14/2022